본문 바로가기

관절건강관련정보61

팔꿈치 뒤쪽 통증에 관하여 팔꿈치 위쪽 통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만성)으로발생할 수도 있고, 직접적인 충격이나 낙상으로 인해 갑자기(급성)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목차 ]1. 팔꿈치 뒤쪽의 만성통증(1)팔꿈치 활액낭염팔꿈치 활액낭염은 팔꿈치 뒤쪽의 활액낭에 발생하는 염증과 붓기 입니다.-이 부위에 외상이나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관절 뒤쪽에큰 붓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휴식, 운동시 모두 팔꿈치에 통증이 있습니다.-팔꿈치 뒤쪽이 붓고 통증이 있으면 움직임의 제한이 될 수있습니다.(2)삼두근 건염상완 뒤쪽의 삼두근 힘줄은 팔꿈치에 붙어 있습니다. 과도한 사용이나넘어질때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해 힘줄에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휴식,운동시 항상 팔꿈치 뒤쪽에 통증이 있습니다.-팔꿈치를 누르면 팔꿈치 뒤쪽 뼈 돌출부 바로.. 2025. 2. 14.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자가건 또는 타가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자가건 또는 타가건을 사용하게 되는데수술받는분들 입장에서 궁금한것이 많을 것이라 생각됩니다.각 이식건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타가건, 자가건이란 무엇일까요?타가건은(Allo graft) 다른사람의 힘줄을 이용하는 것이고 자가건은(Auto graft) 본인의 힘줄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것입니다.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인대가 끊어져서 제 기능을 못할때하게 되는데, 새로운 터널을 뚫어 전방십자인대를 대체하는힘줄을 넣는 것입니다. 이때 자가건 또는 타가건이 사용되는것 입니다.2. 자가건 타가건의 장점과 단점(1)자가건자가건은 자신의 힘줄을 사용하기 때문에 알러지 반응, 조직거부반응이 없고 수술 후 조직이 빠르게 안정화 됩니다.단점으로는 슬개건에서 추출시 무릎에 통증이 동반되고사용가능한.. 2025. 2. 11.
어깨 다친적이 없는데 통증이 있다면? 특별히 어깨를 다친적이 없는데 어깨가 아프고 어깨가 아파서 병원에 갔는데 검사해봐도 특별한증상이 없다고 한다면, 어깨와 견갑골의 정렬, 움직임을봐야 합니다.[ 목차 ]1. 견갑골(날개뼈)의 움직임견갑골은 3가지 축으로 움직임이 일어납니다.-앞에서 봤을때는 상방회전, 하방회전-위에서 봤을때는 전인(내회전), 후인(외회전)-옆에서 봤을때는 앞쪽으로 기울어짐, 뒤쪽으로 기울어짐 이렇게  6가지 움직임이 어깨와 함께 조화를 이뤄 어깨의 움직임을 만들어 냅니다. 2. 어깨가 좋지 않을때 흔히 발생하는 견갑골 양상은?-상방회전의 감소-전인(내회전)의 증가-앞쪽으로 기울어짐 이 세가지의 양상이 가장 흔히 나타나며, 이중 2가지가 섞여서 나타나거나, 심하면 세가지가 다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적절하지 않은 정렬.. 2025. 1. 31.
슬랩병변이란?(SLAP lesion) 슬랩병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SLAP(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lesion)이전에는 야구,배드민턴,수영등 운동선수에게 많이 발생했던 질환이지만이러한 운동이 대중화 되면서 손상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1. 슬랩이란(SLAP) 무엇인가?팔을 반복적으로 과도하게 뒤로 젖히는 동작 또는 외상에 의해서관절와순이 뒤로 찢어지는 질환입니다.2. 슬랩병변이 발생하는 이유는?슬랩이 발생하는 이유는 첫번째로 팔을 반복적으로 뒤로 젖히는동작 입니다. 특히 투수들은 팔을 과도하게 젖히는 동작에서 반복적인 미세손상으로 인해 이두근건에 의해 뜯김현상이 발생하여어깨과절 앞쪽에서 슬랩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뒤쪽은  반복적인자극을 받아 조직이 단단해지면서 후방관절낭이 타이트 해지기도합.. 2025. 1. 21.
무릎에서 소리나는데 괜찮은가요? 발목, 어깨, 무릎에서 흔히 뚝,뚝 소리가 많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움직일때 뚝 소리가 나도 괜찮은건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텐데요.소리가 난다고 해서 꼭 관절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소리는 보통 무릎관절에서 흔하게 나타나는데 이를 염발음이라고 합니다. 소리가 나는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무릎의 구조무릎은 다리뼈와 정강이뼈를 연결해주며 정강의 옆의 비골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경첩구조로 되어있어 구부렸다 폈다하는역할을 합니다.  슬개골은(patella) 무릎 앞쪽에 위치하여 관절을보호하는 볼록한 뼈입니다. 반월상 연골은(memiscus) 정강이뺘와 다리뼈의 쿠션역할을 하여 마찰을 줄어주고, 연골은 뼈를둘러싸고 있는 막인데, 윤활액이라는 액체를 생성해 부드러운움직임을 .. 2024. 12. 13.
발바닥 내재근 강화가 왜 중요할까?(평발,편평족, 족저근막염) 최근에 생활스포츠 인구가 늘어나면서 족저근막염 때문에 고생하시는 분들이 늘었는데요. 이것뿐만 아니라 평발,편평족등때문에 고생하시는 분들도 꽤 많습니다. 이런분들은 발바닥 내재근을 강화하면 효과가 좋다고 하는데 운동을 왜 해야하는지어떤 운동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발바닥 내재근 운동이 중요한 이유발바닥에는 아주 많은 근육, 힘줄, 막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발바닥 내재근은 약화시 발의 질병과 변형관 관련되어 있는경우가 많고, 발바닥 안쪽의 아치를 만들어 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또한 발바닥 아치의 변형 정도와 속도에관련되어 걷거나 서 있을때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발바닥 내재근 강화운동을 하면 족저근막염, 무지외반증, 평발.. 2024. 12. 12.